국민권익위는 공무원 행동강령에 ‘우월적 지위·권한을 남용한 부당행위(갑질)의 금지규정’을 추가하였는데요. 이로 인해 그간 제출된 민원이나 신고 중 법령상 부패행위나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에 해당되지 않아 이송·종결하던 사건을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사건으로 접수·처리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공무원 행동 강령 제13조의3 각호 중 직장내 갑질에 관한 규정을 소개하겠습니다. (조직내부) 상급자의 하급자에 대한 갑질① 직무와 관련이 없거나② 직무의 범위를 벗어나부당한 지시나 요구를 하는 경우 이러한 경우는 품위유지의무 위반 규정이 적용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상자거북입니다. 직장내괴롭힘방지법이 통과되어 이제는 일반 기업에서는 소위 직장내 갑질, 괴롭힘에 대한 제재가 이루어지게 되었는데요. 그 러 나!!! 공무원에게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는 허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공직 사회는 "SSKK(시키면 시키는대로, 까라면 깐다)"라는 문화가 있을 정도로 위계 질서가 아주 철저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직장내 갑질을 겪는 공무원은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를 포스팅하겠습니다. 답은 바로 국민권익위원회 입니다. https://acrc.go.kr/acrc/board.do?command=searchDetail&menuId=050102 국민권익위원회 - 고충민원신청(일반민원 포함) 고충민원신청 : 누구든지(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포함) 행정기관 등 공공기관에 대..
매일 새벽 2시나 되어야 잠이 오고, 아침에 일어나기 어렵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깨어 있는 시간을 확보하려고 해도 마땅찮고, 병원에서 처방받는 수면제를 복용하기엔 부담스럽고, 약국 처방 수면유도제도 마찬가지로 다음날 일어나기 힘들다는 부작용때문에 꺼려져서 쿠팡 직구로 트립토판과 테아닌, 티로신을 구입해보았습니다. 배송비 5,000원으로 굉장히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었는데요. 각각의 알려진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트립토판: 일명 멜라토닌. 2. 테아닌 : 세로토닌 형성에 도움. 3. 티로신: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형성에 도움. 그 후기에 대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관적 복용후기 밤 12시쯤 트립토판 200mg 한 알, 테아닌 1알을 복용하고, 잠을 청했으나 별다른 효과 없이 새벽2시..
Homo Solitarius 태어나서 죽을때까지 인간은 철저하게 고독한 존재입니다. 사람은 모두 외롭다고 해요. 왜냐하면 아무리 사랑하는 사람이라도 다르기 때문에 심리적 간극이 있기에 서로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죠. 모든 사람들이 세상에 하나뿐인 독특함(Uniquness)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로운 겁니다. 지금 외롭지 않아도 언젠가 외로워지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외로움과 친구가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로움에 대해 알아보자 ■ 외로움은 주관적으로 측정된다. -외로움은 쓸쓸함을 마약처럼 갈구하는 것입니다. 인터넷 SNS와 미디어의 홍수 시대에 하루종일 의미없는 단톡방을 들어갔다 나왔다 한다던가, 인스타그램 페이지를 들여다보고 있다던가... 심지어 샤워를 하면서도 스마트폰을 찾는 사람들이 범람하고..
멜라토닌 제재 약품, 국내에선? 현재 미국에서는 멜라토닌 제재의 약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분류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FDA(미국 식품 의약국)에서는 영양보충제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규제하지 않는데요. 반면에 국내에서는 멜라토닌 제재의 약품이 전문의약품입니다. 국내에서는 처방전이 있어야 구매할 수 있는데, 그나마도 가격이 비쌉니다. 영양제 형태의 멜라토닌을 해외배송으로 구매하면 2만원 정도에 18개월간 복용할 수 있는 540정을 구할 수 있다. 반면에, 같은 기간 국내에서 처방약의 가격은 약 90만원이 든다. 가격도 가격이지만, 멜라토닌 처방을 위해 정신과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건강보험 기록에 남아 추후에 민간 의료보험 가입시 불이익을 받게 된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멜라토닌 제재 약품 구매하기 ■ 한편, 국..
메틸페니데이트의 유래 메틸페니데이트는 암페타민 비스무리하게 생긴 물질에 고리 하나를 덧붙인 것이다. 서로 꼬여있는 2개의 고리 구조를 지니고 있다. 1944년 스위스의 노바티스사(당시CIBA사)에서 일하던 연구원 리안드로 파니존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다. 그의 아내인 마가리타의 별명인 "리타"를 따서 Ritalin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54년 각성제로 분류됨과 동시에 특허를 취득해 독일에서 처음 출시되었다. 당시 우울증, 만성피로, 기면증, 비만 등의 치료 목적으로 출시되었다. 1960년대부터 암페타민의 대체 약품으로 쓰이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대표적인 ADHD 치료제로써 이용되고 있다. 참고로 메틸페니데이트 복용시 정상인의 유의미한 수준의 인지력 향상에 대한 논문이 우리나라에서 발표되었다. 이로인해 ..
미국 명문대 재학생 3명중 1명이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복용하는 약이 있다. 바로 암페타민성분의 애더럴(Adderall)이다. 이 약을 먹으면 20시간 또는 밤을 새며 일해도 끄떡없고, 운동선수는 경기장을 날아다니며 신기록을 세운다. 어려웠던 문제들이 도전적이고 재미있어 보인다. 암페타민은 초기에 코막힘 약으로 사용되었다. 고든 앨리스라는 젊은 생화학자가 알레르기약을 만들려다가 합성하게 된 것이다. 부작용으로 생산적이고 근면해진다는 것이 있다는 이 약에 대해 알아보자. 암페타민(에페드린)이란? 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이자, 도파민 분비 촉진제이다. ※ 도파민 분비 촉진을 한다는 점이 국내 승인된 메틸페니데이트(콘서타, 메디키넷 등)와 다른 점이다. 즉, 애더럴은 도파민출력이 정말 낮은 사람들..
코카인이란? ■ Benzoylmethylecgonine. 화학식은 C17H21NO4이다. 결정성 분말로 강한 쓴맛이 나며 국소마취제로서의 기능도 있다. ■ 역사 16세기 말 유럽에 들어와 1860년 유효 알칼로이드를 분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코카인이라 명명된다. 그 후 1884년 코카인의 마취 기능이 밝혀졌다. 1885년 머크(Merck)사에서 합성에 성공하였다. 한때는 국소마취약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코카인을 대신하여 개발된 마취약이 1905년에 처음 합성된 프로카인(Procaine)이며, 이후 알레르기 반응이 더 적고 마취 효과가 좋은 리도카인(Lidocaine)등이 보급되었다. 1929년 이전의 코카콜라에도 코카인이 있었다. 요즘에는 정부 관계자들의 감독 하에, 정식으로 수입되는 코카잎을 삶아 의료..
타 약물과 비교 ■ 양귀비 < 아편(Opioid) < 헤로인 < 펜타닐 < 서펜타닐 < 카펜타닐 양귀비를 정제한 아편을 가공하여 헤로인을 만든다. 펜타닐은 헤로인보다 진통효과가 100배 강하며, 서펜타닐은 1,000배, 카펜타닐은 무려 10,000배가 강하다. ■ 모르핀과 헤로인의 생리학적 효능은 동일하다. 헤로인의 아세틸기는 뇌 안으로 들어가면 원래의 OH로 돌아가 모르핀이 된다. 하지만 다이 아세틸기가 헤로인의 용해성을 높여 중추신경계에 더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모르핀보다 더 효과 좋은 약물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만들어진 것으로 효능부터 부작용까지 모두 모르핀의 초강화판이라고 보면 된다. 헤로인이란? ■ 헤로인의 약전명은 Diacetylmorphine(다이아세틸모르핀)이며, 화학식은 C21H23NO5..
DUR(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약물사용 점검 서비스입니다. 의약품 처방과 조제시 병용금기 등에 관한 의약품 안전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의사와 약사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약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환자가 여러 의사에게 진료 받을 경우가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 중복 처방으로 환자가 약물 부작용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팝업 형태로 제공되는데요. "처방전 간 동일성분" 항목 팝업이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팝업 정보입니다. "임부금기", "비용효과적 함량", "분할주의" 등의 팝업 알람 항목도 제공됩니다. 실제 활용도는? 안타깝게도, 환자의 약물 부작용 노출을 막기 위해 수백억원을 들여 구축한 DUR..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약은 코감기약이자 1세대 항히스타민제 성분으로 만들어진 알러지 비염약인 액티피드정과 액티리딘 정입니다. 아 정말 가히 수면제와 맞먹을 정도로, 아니 수면제를 능가할 만큼의 수면 유도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봐도 될 정도입니다. 낮에 먹든 언제 먹든 어떤 커피와 같이 먹던지 한알 먹자마자 30분안에 잠들 수 있다는 악명 높은 마법의 비염약입니다. 대신 코막힘, 콧물, 재채기를 멈추는 효과가 직빵이죠. 어마어마한 효과를 가진 일반의약품, 엑티리딘 정과 액티피드 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 약 모두 같은 원리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약입니다. ■ 성분 분석 : 수도에페드린염산염 60mg, 트리프롤리딘염산염수화물 2.5mg ○ 트리프롤리딘(triprolidine) - 1세대 항히스타민제..
안녕하세요. 상자거북입니다. 현대인인 우리는 끊임없이 생산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확인하고,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곤 합니다. SNS, 뉴스,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그야말로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습니다. 이처럼 각종 정보를 검색하는 것 이외에도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데에도 스마트폰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죠. 스마트폰 중독이란? 다른 말로 노모포비아(Nomophobia)라고도 하는데요. 이는 No mobile에 대한 공포증을 의미합니다. 즉, 휴대폰 없이 지내는 것에 대한 공포증이죠. 그렇다면 스마트폰 중독 관련 정신 질환은 무엇이 있을까요? 첫번째, 강박증입니다. 새로운 동영상을 확인하고, 웹서핑으로 떠오르는 정보를 과도하게 검색하고, 새로운 뉴스피드를 확인하는데에 강박적인 스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