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제제] HEROIN(헤로인)에 대해 알아보자- 양귀비<아편<헤로인<펜타닐

[억제제] HEROIN(헤로인)에 대해 알아보자- 양귀비<아편<헤로인<펜타닐


타 약물과 비교


■ 양귀비 < 아편(Opioid) < 헤로인 < 펜타닐 < 서펜타닐 < 카펜타닐

 

양귀비를 정제한 아편을 가공하여 헤로인을 만든다. 

 

펜타닐은 헤로인보다 진통효과가 100배 강하며,

서펜타닐은 1,000배, 카펜타닐은 무려 10,000배가 강하다.


 

■ 모르핀과 헤로인의 생리학적 효능은 동일하다.

 

헤로인의 아세틸기는 뇌 안으로 들어가면 원래의 OH로 돌아가 모르핀이 된다. 

 

하지만 다이 아세틸기가 헤로인의 용해성을 높여 중추신경계에 더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모르핀보다 더 효과 좋은 약물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만들어진 것으로 효능부터 부작용까지 모두 모르핀의 초강화판이라고 보면 된다.

 



헤로인이란?


■ 헤로인의 약전명은 Diacetylmorphine(다이아세틸모르핀)이며, 화학식은 C21H23NO5이다.

 

분자량은 369.4, 녹는점은 섭씨 173도인 무색 결정이다. 

 

염산염은 백색 분말로서 물이나 알코올에 녹고 쓴맛이 있다.

 


■ 역사

 

세계 유수의 제약회사들이 보다 안전하고 중독성이 없는 모르핀 대체 약물을 합성하기 위해,

모르핀과 무수초산을 사용해 코데인을 합성하고자 하여 만들어졌다.

 

1874년 런던 성메리병원의 화학자 몰더 라이트에 의해 첫 합성이 성공되었고, 

이후 펠릭스 호프만의 재합성으로 상용화되었다.

 

바이엘은 이 신약을 모르핀보다 안전하고 중독성이 없는 약으로 홍보하고,

처방전 없이 누구나 살 수 있는 일반의약품으로 판매했다.

 

1910년대까지 수많은 약국에서 어린이도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진해제로 팔렸다. 

 

결국 헤로인이 모르핀보다 훨씬 위험하다는 것이 밝혀져,

미국에서 1914년 규제 법률이 통과되어 헤로인이 처방전이 필수인 전문의약품으로 지정되었다.

1924년에는 약전에서 삭제되고 모든 사용이 금지되었다.

1925년에는 국제연맹에서 금지시켰고, 3년 후 국제연맹의 모든 회원국에 적용되었다.

 


 효과

 

향정신성약물의 기전은 크게 흥분제, 억제제, 환각제로 나누는데, 헤로인은 억제제이다.


진통제 뿐만 아니라 해열제와 진해제(기침을 멎게 하는 약)으로써의 효과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뛰어나다. 

 

특히 진해제로써의 뛰어난 성능은 중추신경계의 호흡 중추를 억제하는 작용해서 비롯된 것이다.

과다복용시에는 호흡 중추가 마비되어 사망의 부작용이 따른다.

 

이 약을 처음 투여하면, 극소량으로도 매우 포근한 느낌과 순간적인 쾌락에 빠지게 된다고 한다.

몸을 전혀 움직이지 않아도 끝없는 도취감에 빠지며, 마치 하늘을 날아다니는 감각을 느낄 정도로 온몸이 깃털처럼 가벼워진다는 후기가 있다. 

 

금단현상으로는 아편과 마찬가지로, 의주감(Formication)이 있다. 

의주감이란, 온몸을 벌레가 물어뜯는듯한 고통이다.

헤로인은 아편보다 훨씬 더 지독한 금단 증상을 느낄 수 있다.

 


■ 부작용

 

그러나 금방 내성이 생겨, 점차 증량하지 않으면 효과가 나오지 않는다. 

결국 증량으로 인해 호흡계통 신경과 기관이 마비되어 질식사하게 된다.

 

자신의 구토물에 의해 질식사하는 경우도 많다.

 

정제기술의 발달로 지난 10년간 순도가 10%에서 90%까지 증가했다고 한다. 

이에 사용량 가늠을 실패하여 죽는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고 한다. 

 

게다가 50배나 순도가 높은 개량형인 펜타닐의 보급으로 계량 실패로 황천길 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헤로인 과용으로 죽은 유명인

 

미국에서는 2018년 기준 하루 200명 꼴로 아편류 약물 과다 복용 사망자가 나온다고 한다.

그렇다면 헤로인 과용으로 사망한 유명인은 누가 있을까?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Philip Seymour Hoffman)

-뉴욕대출신, 78회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 배우이자 감독, 욕조 안에서 바늘이 팔에 꽂힌 모습으로 46세에 사망.

 

리버 피닉스(River Phoenix)

-미국 배우이자 음악가, 48회 볼피컵 남우주연상 수상, 베니스 영화제 주연상 수상, 사회적 활동을 많이하고 소신있는 발언을 자주해서 채식주의자 제임스 딘이라고 부리기도 하였음, 헤로인과 코카인 과다투여로 인한 발작으로 23세에 사망.

 

재니스 조플린(Janis Joplin)

-미국 백인 여성 블루스, 사이키델릭 록 싱어송라이터, 빌보드 선정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그래미 평생 공로상 수상자,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27세에 할리우드의 한 호텔방 바닥에서 헤로인 과다 투여로 사망.

 


■ 투여

 

헤로인은 혈관을 통해 뇌로 침투해야 작용한다.

 

비강 흡입, 경구 투여, 혈관 주사, 흡연 등이 모두 가능하다.

 

약효 손실 없이, 가장 강력한 효과를 보는 방법은 주사를 이용해 혈관으로 직접 투여하는 것이다.

 

다른 방식은 다른 장기를 거치면서 약효에 손실이 발생해, 주사투여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데 더 많은 양의 헤로인이 필요하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