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처방시, DUR(Drug Utilization Review) 중복 처방 경고 알람 서비스에 대해
- 향정신성 약물
- 2019. 12. 24. 12:02
DUR(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약물사용 점검 서비스입니다.
의약품 처방과 조제시 병용금기 등에 관한 의약품 안전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의사와 약사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약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환자가 여러 의사에게 진료 받을 경우가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 중복 처방으로 환자가 약물 부작용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팝업 형태로 제공되는데요.
"처방전 간 동일성분" 항목 팝업이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팝업 정보입니다.
"임부금기", "비용효과적 함량", "분할주의" 등의 팝업 알람 항목도 제공됩니다.
실제 활용도는?
안타깝게도, 환자의 약물 부작용 노출을 막기 위해 수백억원을 들여 구축한 DUR 서비스 이용률이 일선 의료현장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2019년 10월 14일 열린 심평원 국정감사 제출 자료에서 드러났습니다.
의사와 약사가 사용하는 단말기 화면에 팝업 형태로 제공하는 의약품안전정보를 실제 처방에 활용한 경우는 10건중 1건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단일 점검 항목으로 정보제공량이 가장 많은 "처방전간 동일성분" 항목의 경우 처방변경률이 13.8%(2018년기준)에 불과했습니다.
심평원 연구자료에 따르면 이러한 동일성분 중복처방으로 인해 한 해에 낭비되는 금액이 1382억원(2016년 기준)이나 된다고 합니다.
심지어 무의미한 사유를 회신하는 사례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DUR 경고 알림이 뜨면,
"금기"나 "동일성분 중복"의 경우에는 처방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
그 사유를 기재하여 회신하도록 되었습니다.
그러나 맹성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당한 사유를 적는 대신,
"1111", "1234", "ㅎㅎ", "ㅠㅠ" 등의 무의미한 사유를 회신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DUR 사용 의무화 법안?
2019년 10월 14일 심평원 국정감사에서 김승택 심평원장은 DUR과 관련하여 집중 포화를 맞았습니다. 그는 DUR을 통해 의사나 약사가 제공된 의약품 안전 정보를 무시하면, 과태료를 부과받도록 하는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해달라며 호소했는데요. 현재 DUR과 관련된 과태료 법안이 국회에 2건 제출되어있습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안재근 의원은 DUR 활용도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사용 의무화가 되면 현장의 반발이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도 마약률 등 위험 성분은 단계적으로 의무화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진료기록이 병원 간 공유되는가?
약을 처방할때, 함께 복용하면 안되는 약이 동일 기간에 처방되면 경고가 뜰 뿐입니다.
즉, 환자가 병원을 옮길때,
이전 병원과 옮긴 병원 간에 진료 기록은 서로 절대 알 수 없습니다.
환자가 평소의 처방전이나 복용하던 약 봉투를 챙기지 않는한 말이죠.
'향정신성 약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감신경흥분제] 메틸페니데이트(페니드, 콘서타, 메디키넷, 메타데이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2.24 |
---|---|
[교감신경흥분제] 암페타민(에더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2.24 |
[교감신경흥분제] 코카인(Cocaine)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2.24 |
[억제제] HEROIN(헤로인)에 대해 알아보자- 양귀비<아편<헤로인<펜타닐 (0) | 2019.12.24 |
[메틸페티데이트] 메디키넷 vs 콘서타 비교 -시간별효과, 가격, 용량 (0) | 2019.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