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에 대해서 - 증상, 분류, 진단 기준, 인지 행동 치료법
- 불면증
- 2019. 12. 3. 14:01
안녕하세요. 상자거북입니다.
불면증은 정신질환의 원인 중 30%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성이 잠재되어 있는데요.
우울증, 두통, 소화불량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치할 경우, 조현병과 같은 중증 정신 질환으로도 발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잠이 안오는 정도로 가볍게 볼 수 있는 질환은 아닙니다.
■ 불면증(Insomnia)란?
잠에 들기 어려움 또는 수면을 지속하기 어려움을 말합니다.
불면증은 주관적인 수면의 불편감으로 정의되는데요.
○ 다음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증상을 가집니다.
- 잠에 들기 어려움.
- 밤중에 자주 잠에서 깨고 다시 잠에 들기 어려움.
- 아침에 너무 일찍 잠에서 깨는 것.
- 자고 일어나도 피곤함 지속.
■ 불면증의 종류?
○ 1차 불면증(Primary Insomnia) vs 2차 불면증(Secondary Insomnia)
1) 1차 불면증: 그 자체로 발생되는 불면증.
-이차적 원인이 배제된 일차 불면증에서도 카페인이나 니코틴, 부적절한 수면 위생 등의 불면증의 원인 제거와 함께 인지 행동 치료 같은 비약물적 치료방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햐야 한다고 합니다.
2) 2차 불면증: 다른 건강상의 문제로 인해 또는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한 수면 장애
- 불면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우울장애나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과적 질환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기저질환에 대한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많은 경우 수면제 처방과 같은 별도의 치료가 없더라도 원인 질환의 치료에 의해 불면증이 호전 될 수 있습니다.
○ 급성 불면증(Acute Insomnia) vs 만성 불면증(Chronic Insomnia)
1) 급성(일시적) 불면증: 몇 주 동안에 하루 이틀 정도의 빈도로 발생하는 불면증.
- 성인에서 일시적 불면증은 전 인구의 1/3에서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만성 불면증: 일주일에 삼일 이상의 빈도로 세 달 또는 그 이상을 지속하는 불면증.
- 성인에서 만성적 불면증은 전 인구의 10% 내외에서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만성 불면증의 노인 유병률은 연구에 따라 20%에서 40%까지 보고되기도 합니다.
노인의 경우에는 잠이 들기 힘든 입면 곤란 증세보다는 자다가 자주 깨거나 한번 깨면 다시 잠들기 힘든 수면 유지 곤란 증상을 더 호소하는 편입니다.
■ 불면증의 진단
○ 평가 방법
1) 주관적 평가
수면 습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면 일기를 2주 이상 작성하여 평가할 수 있으며,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등의 다양한 설문지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2) 객관적 평가
진단에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수면 다원 검사(Polysomnography)를 통해 감별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진단 기준
1) 심인적 불면증 진단 기준
2) 부적절한 수면 위생 진단 기준
3) 수면제 금단형 불면증 진단 기준
- 이처럼 수면을 위해 약물을 장기적으로 복용하는 경우에는 신체적, 심리적 의존성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 불면증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f Insomnia : CBT-I)
○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은 수면 제한법입니다.
이 기법은 수면에 대한 동기를 높이는 것인데요.
가벼운 수면 박탈을 유도하여 수면 잠복기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1) 낮잠을 15분 이상 자는 것을 제한한다.
- 특히 오후 3시 이후에는 낮잠을 금지한다.
2) 졸음이 올 때에만 잠을 자러 침실에 들어간다.
- 침실은 오직 잠을 자기 위해서만 사용한다.
- 누운지 15분이 지나도 잠에 들지 못하면 침실에서 나온다.
졸음이 오면 침실에 다시 들어간다.
3) 매일 아침 일정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일어난다.
- 일단 일어나면 잠에서 확 깰 수 있는 행동을 한다.
- 깨어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잠을 얼마나 자야 하는지에 대한 강박관념을 갖지 말자
-부담이 되어 오히려 불면증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불면증 극복 위한 책 소개
1) 불면증, 즉각 벗어날 수 있다 /김하진 저, 2017, 자유문고
불면증, 즉각 벗어날 수 있다
저자 자신의 치유 경험과 그 과정에서 깨달은 불면증의 실체, 불면증의 원리, 불면증에서 벗어나는 방법, 그리고 자신의 도움으로 불면증에서 벗어난 사람들의 치유사례 등을 담았다.
www.aladin.co.kr
2) 불면증은 불치병이 아니다 /Stephanie A. Silberman 저, 2014, 학지사
불면증은 불치병이 아니다
불면증은 불치병이 아니다
www.aladin.co.kr
'불면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 2시에나 잠이 온다면? -트립토판(멜라토닌) 사용 후기 (0) | 2019.12.30 |
---|---|
[천연 수면유도제] 멜라토닌 구매하기 (0) | 2019.12.24 |